언어는 쓰이는 장소나 시대에 따라 의미가 변하다 보면 같은 단어라도 이전에 사용했던 의미가 달라져 조금 다른 의미를 갖거나, 유사하지만 표현할 수 있는 범위가 줄어들어 한정적인 의미로 쓰이는 경우가 있다. 우리가 사용하는 한글도 오늘날의 구성원이 주로 사용하는 단어들과 발음에 따라 새롭게 표준어로 받아들여지기도 하고, 신조어라고 생각했던 말들도 사용 빈도에 따라 새롭게 사전에 등재되기도 한다. 2011년 이전이라면 통용되지 못했을 '짜장면'은 실제 사용에 맞게 복수 표준어로 인정되어 그렇게 읽어는 것도 허용이 되게 되었다. 국립국어원에 따르면 “국민들이 실생활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그동안 표준어로 인정되지 않았던 ‘짜장면’, ‘먹거리’ 등 39개를 표준어로 인정하고..(중략)..이에 따라 그동안 규범과 실제 언어 사용의 차이로 인해 생겼던 언어생활의 불편이 상당히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라고 했다. 사실 그동안 억지로 ‘자장면’이라고 발음하는 방송용 언어들을 보면서 몹시 불편하긴 했다.
모바일보다 모빌이라 읽는 것이 더 보편적으로 쓰였지만 요즘엔 왠지 모바일이 더 친숙하다
저 옛날 해적판 만화책을 보며 행복하던 시절에 ‘어쩌고저쩌고 대백과’ 시리즈를 참 즐겨 봤었다. 적법한 저작권 계약 없이 음성적으로 복제된 책(주로 일본의 망가)이었지만 그 당시엔 너무 당연했고 사실 그것밖에 없었다. 그런 대백과류는 만화영화에 등장하는 로봇이나 세계관에 대한 설정(지나치게 불필요할 만큼)들을 친절하게 설명해 주었고, 난 그런 류의 정보들을 즐겼다. 처음 ‘건담(Gundam)’이라는 애니메이션을 알게 되었는데 ‘기동전사 건담’이라는 이름으로 소개되어 있었고 영문명은 Mobile Suit Gundam이었다. 그 당시엔 그 뜻도 모르고 ‘모빌슈트 간담’라고 읽었었는데 지금 해석해 보면 ‘움직이는 갑옷’ 정도였겠다. 아니, 스스로 움직이는 갑옷이라고 하는 게 옳겠다.
흔하게 쓰이는 단어가 되어버린 ‘모바일(mobile)’은 그때까지만 해도 누구든 ‘모빌’이라고 했었는데 요즘엔 대부분 모바일이라고 한다. 대체로 이 단어로 끝나면 모빌, 이 단어로 시작되거나 중간에 쓰이면 모바일이라고 읽는 경우가 많다. 휴대폰을 연상하는 게 당연하게 되어버려서 ‘모바일 환경’이나 ‘모바일 기기’처럼 ‘모바일’이 익숙하지만, 휴대폰이 나오기 전까지만 해도 모바일은 그러한 용도로 사용되지 않았다. 여전히 영어권에서는 ‘Cell phone’이라고 더 많이 사용하며, 심지어 십여년 전 까지만 해도 국내 한정으로 ‘Hand Phone’이라는 콩글리쉬를 명함에 적어 놓았던 것도 쉽게 볼 수 있었다. 이 ‘모바일’이 ‘가지고 다닐 수 있는’ 혹은 ‘이동이 자유로운’이라는 의미가 부여되기 전 사용되었던 의미를 생각하려면 ‘오토’ 이야기를 하지 않을 수 없다.
Auto의 원래 의미는 스스로 하는 것이라는 의미의 그리스어 αὐτo에서 온 말로 흔히 자동(自動)이란 뜻으로 automatic이라고 쓰지만 줄여서 auto라고 많이 쓰고 사용한다. ‘스스로 움직인다’라는 뜻인데 같은 어원에 상응해서 복합적인 움직임을 기계나 구조물로 스스로 제어하며 움직이는 것들을 오토마톤(Automaton) 혹은 오토마타(Automata)라고 하는데 어째서인지 복수형인 후자를 더 많이 자연스럽게 사용한다.
이러한 복합적인 기계들의 움직임을 표현하는 ‘오토마타’라는 의미가 주로 17세기부터 사용되던 말이기 때문에 지금 우리가 생각할 수 있는 컴퓨터와 인공지능이 컨트롤하는 자동화된 시스템을 생각할 수는 없다. 쉽게 생각하면 돌돌 말린 길고 얇은 금속판을 꽁꽁 감았다가 풀어지는 힘으로 수많은 톱니바퀴들이 연결되어 움직이는 정교한 시계 같은 것이 ‘오토마타’의 의미에 더 가깝다. 이미지로만 따진다면 ‘스팀펑크(steam punk)’가 차라리 더 잘 어울린다.
정해진 움직임만을 반복하며 움직이던 ‘오토마톤’들이 당시 유럽의 합리주의적인 철학 시대에 영향을 받아 사람의 노동을 대신해 줄 수 있을지 모른다는 생각으로 ‘오토마타’를 창조하게 되는데 당시의 사람들은 오늘날 생각하는 키네틱스 로봇 같은 기계보다는 사람 형상의 안드로이드나 리플리컨트를 생각했던 것 같다.
주로 특정 장소(주로 공원이나 서커스 혹은 카니발이 열리는 곳)에 배치되어 기념 도장(스탬프)을 찍어주면서 눈을 깜박이고 고개를 좌우로 돌리는 정도의 가벼운 제스처를 함께 보여줬다고 한다. 그중엔 사람의 목소리와 비슷한 웃음소리를 내기도 했고 심지어 사람의 생각을 맞추거나 체스를 두는 것도 있었다는데 관심과 이목을 끌 목적으로 무대 뒤나 상자 등에 사람이 숨어서 조작하는 속임수였다.
이렇게 ‘오토마타’는 ‘스스로 움직이는 기계’라는 의미에서 시작했지만, 사람의 움직임을 반복적 형태로 따라 하는 인형으로 인지되고 있는데 그 생김새는 ‘불편의 골짜기’에서 튀어나온 톱니바퀴로 가득한 영혼 없는 마네킹에 더 가깝다. 얼마 전 콘솔과 PC로도 출시되어 인기(게임도 게임이지만 캐릭터 디자인과 코스프레가 더 인기를 끌었...)를 끌었던 ‘’니어:오토마타(NieR:Automata, 2017 SQUARE ENIX)”의 오토마타는 이런 기계인형을 뜻하는 말에서 차용된 리플리컨트형 캐릭터를 뜻한다.
오토(Auto)나 비클(Vehicle)처럼 자동차를 뜻하게 된 모빌
이런 오토라는 단어가 스스로 움직인다는 뜻의 ‘모바일(mobile)’과 만나 ‘오토모바일비클(auto mobile vehicle)’이라는 단어가 나타났는데 바로 자동차를 일컫는 말이다. 자동차(自動車)도 한자어로 된 단어 인지라 뜻을 풀어서 생각하면 ‘스스로自 움직이는動 차車’가 된다. 자동차라는 것이 발명되기 전을 생각해 본다면 이동 수단이라는 것은 다른 힘 혹은 동력에 의존해야만 움직일 수 있었는데 말이 끌고 가는 ‘마차’가 대표적일 것이고 소를 사용한 ‘우마차’도 있었고, 사람이 끄는 ‘인력거’도 있었으며, 배에서나 사용할 법한 돛을 달아 바람의 힘으로 움직이는 차도 있었으니, 끌거나 밀어주는 어떤 동력도 없어 보이는 차를 보고 ‘스스로 움직이는’ 이라고 불렀던 것도 당연하다. 그러니 이때의 모바일은 ‘움직이다’라는 의미에 가깝고 주로 이런 의미로 쓰였던 것이다. 초등학교 미술 교과서에도 나오는 움직이는 조각의 이름이 모빌(철자와 의미는 같지만 미술작품에서는 반드시 ‘모빌’이라고 읽는다)이고 갓난 아기를 위해 천정에 달아 놓는 완구의 이름으로도 여전히 쓰인다.
그렇게 사용되던 이 단어는 vehicle이라는 단어는 축약되고 오토모빌(automobile)이라고만 쓰고 자동차를 의미하는 용도로 쓰였고 Mobile 혹은 Auto라고만 써 놓아아도 ‘자동차’를 뜻하는 말이라고 알아 듣는다. 1897년에 설립되어 이제는 사라진 미국의 자동차 메이커 “Oldsmobile(올즈모빌)”은 창업자 ‘랜섬 올즈(Ransom E. Olds)’가 만드는 자동차 회사라는 뜻으로 여기서도 mobile은 자동차라는 뜻으로 쓰였다.(사실 난 오래전부터 자동차를 만들어 온 전통 있는 오래된 자동차 회사라는 의미로 회사명을 그렇게 지었을 것으로 생각했었다.)
모빌에서 모바일로, '움직이는'에서 '휴대용'으로
오토를 만나 사용되던 ‘모빌’은 개인 통신 단말기인 휴대용 전화기에 여러가지 기능들이 추가되면서 새로운 마케팅 포인트를 만나게 된다. 개인과 개인 간의 통신을 개인과 다중으로 열어 놓고, 디스플레이가 생겨나고 숫자 버튼을 대신하여 터치라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미디어와 애플리케이션을 집어삼킨 휴대용 전화기는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의 다양성뿐 아니라 애플리케이션이라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장비(equipment 비록 소프트웨어화 된 도구들이지만)’를 ‘휴대(mobile)’하고 다니면서 언제나 사용할 수 있다는 새로운 ‘모바일 라이프(mobile life)’를 화두로 내세웠다.
이런 스마트폰의 시장이 확대되고 보편화되면서 ‘모바일(mobile)’은 ‘움직이는’이라는 뜻 보다(이전에도 두 가지 의미로 모두 사용되었고 여전히 사용되고 있지만...)는 ‘이동이 가능한’ 혹은 ‘이동이 자유로운’의 뜻으로 더 많이 사용되면서, 휴대할 수 있는 물건이나 이동하기 용이한 물건들 혹은 상태를 나타내는 말로 더 많이 쓰임을 받게 되었다. 그러다 보니 예전에 Mobile이나 Auto라는 단어가 자동차라는 보편적 의미로 받아들여졌듯 최근에는 모바일(Mobile)이라고 하면 흔히 말하는 휴대폰을 연상하게 되었고 모바일(mobile)이라고 하면 이제는 스마트폰을 생각하기 쉽게 되어 버렸다. 하지만 여전히 자동차를 의미하는 것에는 변함이 없다. 심지어 유명 정유회사 "엑손모빌(Exxon Mobil)" 덕분에 미국에서는 주유소를 의미하기도 한다.
사실 모바일이냐 모빌이냐를 이야기 하면서 어느 것이 맞고 틀리냐를 말하려는 것도 아니고 잘못된 사용이라고 하고 싶은 생각도 없다. 무엇이 되었건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자신들의 삶에 맞게 반영하여 유연하게 변화하는 것이 문명이 되고 그런 작은 변화들은 언제나 혁명이 되고 세상을 바꾸며 지금까지의 삶을 더 가치있게 만들어 왔다고 믿는다.
자료도 찾고 검색도 하면서 문득 학창 시절 교과서에서 봤던 모빌이 떠 올랐다. 뭔가 하나는 다양한 원색으로 표현되었던 작품이었고 다른 대표작은 붉은색 오브제로만 표현된 “레드 모빌”이라는 작품이었는 찾는게 쉽진 않았다. 키네틱 아트와 현대미술에 나름 거대한 획을 그은 ‘알렉산더 칼더(Alexander Stirling Calder 1898-1976)’의 대표작인 “Red Mobile”을 인터넷을 통해 보고 싶다면 앞글자를 반드시 대문자로 입력하여 검색해야 한다. 대문자 없이 red mobile로 검색하면 거의 대부분 붉은 색상의 스마트폰 사진들이 우르르 쏟아진다. (블랙핑크 ‘제니’의 얼굴도 자주 보이더라)
Cover : “Red Lily Pad” Solomon R. Guggenheim Museum 2017 Calder Foundation, New York / Photo by David Heald
'하라는 게임은 안하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선검의 이름으로... (0) | 2020.05.08 |
---|---|
검과 도 (0) | 2020.05.07 |
그럼 너프는 뭐야? (0) | 2020.01.17 |
버프의 의미 (0) | 2019.12.18 |